(R) 청주특례시 추진 '청신호'…김영환 도지사 "반대할 이유 없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승원 작성일2025.03.18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청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특례시 지정이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앞서 정부는 특례시 인구 기준을 50만 명으로 낮출 것을 권고했는데요.
민선 7기 당시 반대 의견을 냈던 충북도도 긍정적인 입장으로 선회해 특례시 재도전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이승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021년 청주시는 특례시 지정을 추진했지만 무산됐습니다.
주민당 세출 예산액, 지역 내 총생산 등 다른 조건을 충족했지만, 인구 100만명 기준을 맞추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 행정안전부에서 특례시 인구 기준을 100만 명에서 50만 명으로 낮추는 것을 검토하고 있어 청주 특례시 지정에 파란불이 켜졌습니다.
행안부는 비수도권의 인구 감소와 거점 기능 회복을 위해 특례시 지정 요건을 완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상급 지자체인 충청북도도 특례시 지정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영환 도지사는 오늘(18일) 도정보고회에 앞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중앙 정부의 권한이 지방정부로 대폭 이양되야 한다"며 특례시 지정에 찬성하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인서트>
김영환 도지사입니다.
"지방분권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50만 명으로 된다면 그걸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반대할 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충북 내 타 시군 간 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례시로 지정되면 2개국이 신설돼 8개국이 운영되며 부시장을 추가 배치할 수 있는 등 조직 체계가 확대됩니다.
또 택지개발지구 지정과 개발제한구역 지정 및 해제 등 중앙부처가 담당한 사무 권한이 대폭 이양됩니다.
이에 따라 90만 명에 육박하는 청주 시민을 위한 행정력을 갖출 수 있게 됩니다.
민선 7기 충북도의 반대와 조건 미달로 특례시 진입에 실패했던 청주시.
정부와 충북도의 긍정적인 검토에 힘입어 민선 8기에 특례시 재도전이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BBS 뉴스 이승원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