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학령인구 감소세·수도권 쏠림까지"…지방대학 신입생 모집 '이중고' > 뉴스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뉴스

충북뉴스
HOME충북뉴스

뉴스

(R) "학령인구 감소세·수도권 쏠림까지"…지방대학 신입생 모집 '이중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승원 작성일2025.08.27 댓글0건

본문

[앵커멘트]

2026학년도 대학 입시 기간이 다가오면서 지방대학들이 신입생 충원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학령인구 감소에 수도권 쏠림까지 겹친건데요.

 

정부 차원의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승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다음 달부터 수시 원서 접수와 함께 본격적인 2026학년도 대학 입시가 시작되지만, 지방대학들은 근심이 가득한 상황입니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신입생 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지난 22일 발표한 '지방대학 육성 정책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충북의 대학 학령인구는 5만 6천여 명으로, 지난 2015년 8만 7천여 명보다 35.1% 감소했습니다.

 

이는 전국 평균 33.6%보다 높은 수치로 학령 인구 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줄어들고 있다는 겁니다.

 

여기에 수도권 대학의 쏠림 현상도 심해지고 있습니다.

 

비수도권 대비 수도권 대학 신입생 충원율 차이는 지난 2014년 4.8%p 였지만 2023년에는 6.2%p로 벌어졌고, 같은 기간 졸업생 취업률 격차는 1.0%p에서 2.6%p로 늘어났습니다.

 

지난 2025학년도 입시에서 추가 모집까지 진행한 결과 전국 49개 대학에서 천 120명을 충원하지 못했습니다. 

 

이중 82%인 천 50명이 지방대였고 충북에서도 5개 대학에서 신입생 118명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 대학은 성인학습자나 외국인 유학생 등 신입생 확보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학령 인구 감소 추세에 비해 충원 수가 적어 임시 방편에 불과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지방대의 위기가 이어지자 정부는 지방대 육성법과 지역균형인재 기본계획을 수립했지만 진학률과 취업률 등 각종 지표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예산정책처는 "최근 정부가 RISE사업과 글로컬대학 사업 등 '지역 중심의 대학지원'을 정책 기조로 정했다"며 "각 대학별 특성화 전략 수립과 재정지원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 개선안을 세워야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방대학의 역량 강화를 통해 지역인재 양성, 취·창업, 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BBS 뉴스 이승원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소 : (우)28804 충북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1130-27 3층전화 : 043-294-5114~7 팩스 : 043-294-5119

Copyright (C) 2022 www.cjbb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