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전국 버스노조 총파업 시동…충북도 교통대란 우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성현 작성일2025.05.11 댓글0건본문
[앵커]
전국 버스 노동조합이 오는 28일 총파업을 예고했습니다. 전국 단위의 공동 파업은 이번이 처음인데요.
충청북도 역시 일부 노조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도민들의 대중교통 불편이 우려됩니다.
조성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노총 소속 전국자동차노조연맹 소속 22개 지역 버스노조가 공동으로 총파업을 예고했습니다.
서울과 경기, 충북 등 전국 17개 지역 22개 노조로 이뤄진 연맹은 12일 각 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조정 기간인 15일간 사측과 협상에 나선 뒤 27일 자정까지도 타결되지 않으면 28일 새벽 첫차부터 총파업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이번 총파업의 쟁점은 '통상임금' 입니다.
버스노조는 정기상여금 등 고정수당을 통상임금에 포함해 임금 체계를 재편하자고 요구하고 있지만, 사용자 측은 인건비 급등과 경영 악화를 이유로 반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대법원 판결로 정기 상여금 등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면서 이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각종 수당과 퇴직금 등이 덩달아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사측은 먼저 통상임금 등 임금체계를 개편한 뒤 임금 인상률을 정하자는 태도지만, 노조 측은 이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이번 파업은 전국적으로 처음 이뤄지는 공동 행동으로 수도권은 물론 충북도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충북에서는 청주시를 중심으로 일부 시내버스 노조가 자동차노조연맹에 소속돼 있어 총파업에 참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참여 범위와 규모에 따라 도내 대중교통 운행에 큰 혼선이 예상됩니다.
도심 외곽이나 농촌 지역은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아, 파업이 길어질 경우 생활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이에 충북도와 각 지자체는 파업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며 다양한 대응 방안을 마련 중입니다.
실제 2024년과 2022년에도 청주 시내버스 파업 당시 긴급 차량을 투입하고, 비조합 차량으로 제한적 운행을 이어간 사례가 있습니다.
고령자, 학생, 장애인 등 교통 약자의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시민의 발이 멈춰 서기 전에 노사 간 실질적인 중재와 대화가 필요해 보입니다.
BBS 뉴스 조성현입니다.
전국 버스 노동조합이 오는 28일 총파업을 예고했습니다. 전국 단위의 공동 파업은 이번이 처음인데요.
충청북도 역시 일부 노조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도민들의 대중교통 불편이 우려됩니다.
조성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노총 소속 전국자동차노조연맹 소속 22개 지역 버스노조가 공동으로 총파업을 예고했습니다.
서울과 경기, 충북 등 전국 17개 지역 22개 노조로 이뤄진 연맹은 12일 각 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조정 기간인 15일간 사측과 협상에 나선 뒤 27일 자정까지도 타결되지 않으면 28일 새벽 첫차부터 총파업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이번 총파업의 쟁점은 '통상임금' 입니다.
버스노조는 정기상여금 등 고정수당을 통상임금에 포함해 임금 체계를 재편하자고 요구하고 있지만, 사용자 측은 인건비 급등과 경영 악화를 이유로 반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대법원 판결로 정기 상여금 등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면서 이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각종 수당과 퇴직금 등이 덩달아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사측은 먼저 통상임금 등 임금체계를 개편한 뒤 임금 인상률을 정하자는 태도지만, 노조 측은 이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이번 파업은 전국적으로 처음 이뤄지는 공동 행동으로 수도권은 물론 충북도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충북에서는 청주시를 중심으로 일부 시내버스 노조가 자동차노조연맹에 소속돼 있어 총파업에 참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참여 범위와 규모에 따라 도내 대중교통 운행에 큰 혼선이 예상됩니다.
도심 외곽이나 농촌 지역은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아, 파업이 길어질 경우 생활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이에 충북도와 각 지자체는 파업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며 다양한 대응 방안을 마련 중입니다.
실제 2024년과 2022년에도 청주 시내버스 파업 당시 긴급 차량을 투입하고, 비조합 차량으로 제한적 운행을 이어간 사례가 있습니다.
고령자, 학생, 장애인 등 교통 약자의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시민의 발이 멈춰 서기 전에 노사 간 실질적인 중재와 대화가 필요해 보입니다.
BBS 뉴스 조성현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