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전국 초등 교장들, 교권 확립 한목소리…"법령 개정·시스템 구축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현철 작성일2023.08.20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지난주 금요일 전국 초등학교 교장과 장학관 등 관리자급 4천500여 명이 청주에 모였습니다.
전국 초등학교 교장들은 교권 확립을 위한 법령 개정과 시스템 구축을 촉구했습니다.
교권 보호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속도가 날지 주목됩니다.
자세한 소식, 이채연 아나운서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교권 침해와 악성 민원으로 정상적인 교육활동이 어려운 위기 상황에 처했다"
전국 초등학교 교장들이 교육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며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지난 17일 청주대 석우문화체육관에서 한국초등교장협의회 하계연수회가 열렸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4년 만에 열린 연수회에는 전국의 초등 교장과 교장을 역임한 장학·연구관 등 4천여 명이 자리했습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교권 확립을 촉구하는 결의문이 발표됐습니다.
교사들의 안전한 교육 활동 보장과 학교의 자율적 책임 경영을 위한 시스템 구축 요구가 핵심입니다.
협의회는 결의문에서 "학교는 어린이, 학부모, 교직원들 간 신뢰를 바탕으로 사회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노력했다"면서도 "학교와 교사들은 교권 침해와 악성 민원 등으로 정상적인 교육 활동을 이어가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교사들의 노력이 좌절되지 않도록 교권 보호에 앞장서고 신뢰와 공존의 학교 문화 조성에 힘쓰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교장들의 고민은 일반 교사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한국초등교장협의회에 따르면 교권 보호 정책과 지원 방안에 대해 등록회원 천800여 명 중 39%는 학부모 책무성 강화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24%는 현행 아동학대법 개정 필요성을 꼽기도 해 약 63%가 제도적 보호 시스템 마련을 원했습니다.
교권 침해와 학폭 사안에 대해 55%는 학부모와의 소통과 협력, 교직원 관리로 부담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앞으로 초등 교육은 인성교육을 중점 분야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절반 가까이 나왔습니다.
교육부가 최근 문제 행동을 한 학생을 분리하거나 물리적 제지할 수 있는 고시안을 내놓은 가운데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가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BBS뉴스 이채연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