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오송 지하차도 참사, 임시제방 붕괴가 원인?... 관련기관 책임공방 가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진수 작성일2023.07.17 댓글0건본문
[앵커멘트]
다수의 사상자를 낸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를 둘러싸고 책임 공방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축조한 '임시 제방'이 주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데요.
미호강 홍수경보에도 저지대 위험 도로를 통제하지 않은 충북도와 청주시 역시 책임을 벗어날 수 없을 전망입니다.
보도에 김진수 기잡니다.
[기자]
오송 궁평 2지하차도 관리청인 충청북도는 행복청이 가설한 교량 공사용 제방이 불어난 미호강 물에 붕괴하면서 지하차도가 침수됐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공사용 제방은 온전한 둑 구조물이 아닌 흙둑에 방수포를 씌운 형태로 사고 당일 홍수경보가 발령된 지 4시간여 만에 둑이 터졌고 지하차도에 수만t의 강물이 쏟아졌다는 진단입니다.
이같은 공사용 제방 부실 관리 논란이 확산하자 행복청은 입장자료를 내고 "미호천변 임시제방은 설계빈도 100년의 계획홍수위보다 높게 축조했다"며 "당일 폭우로 월류가 우려돼 보강작업을 실시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어 "둑 일부를 헐어 공사 차량 진출입로 사용한 적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자체들의 관리 부실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금강홍수통제소는 미호강에 홍수경보를 내린 뒤 청주시청에 도로 통제를 요청했으나 청주시는 이를 해당 도로관리청인 충북도에 전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도로관리청인 충북도 역시 미호강 홍수경보가 발령된 지 4시간이 지나도록 인접 지하차도를 통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충북도는 "홍수경보라 해도 지하차도 중심에 물이 고여야 교통통제를 시작한다"며 "그러나 오송 지하차도는 제방이 무너져 갑자기 침수됐기 때문에 통제할 겨를이 없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붕괴된 행복청의 임시제방은 홍수 대응 매뉴얼이 규정하는 온전한 제방이 아닌 임시 흙둑인데도 충북도는 매뉴얼에 따라 대응했다고 해명하는 모습입니다.
충북도는 이번 참사를 '미호강 제방 붕괴에 따른 궁평 지하차도 사고'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희생자 유족들은 이 참사를 자연재난이 아닌 '명백한 인재'라면서 관계자 처벌을 당국에 요구할 태세입니다.
한편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어제(16일) 현장을 찾아 "철저한 조사"를 약속하면서 국토부와 경찰 등 당국의 진상조사는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BBS뉴스 김진수 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