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여야 지방선거 공천룰 '대수술'…충북 정치권도 촉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성현 작성일2025.11.19 댓글0건본문
[앵커]
내년 6·3 지방선거가 7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여야가 공천 규칙을 크게 손질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권리당원 중심의 '1인 1표제'로 공천 구조를 전면 개편하고 있고, 국민의힘은 단체장 평가 체계를 바꾸며 긴장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조성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 모두 공천룰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기존 공천 시스템을 사실상 '원점에서 재설계한다'는 평가가 나올 만큼 변화 폭이 큽니다.
먼저 더불어민주당은 권리당원의 권한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총선과 지방선거에서 대의원이 강한 영향력을 행사해 왔던 기존 구조에서 벗어나, 앞으로는 '대의원대 권리당원 20대 1' 비율이 전면 폐지되고, 완전한 1인 1표제가 도입됩니다.
또 광역·기초 비례대표 후보 순번 역시 지역위원회 상무위원회가 정하던 방식에서 권리당원 100% 투표로 바뀝니다.
사실상 "당원이 후보를 뽑는 구조"로 간다는 의미입니다.
정청래 대표는 예비후보자가 다수일 경우 권리당원 100%의 1차 예비경선, 그리고 권리당원과 일반 국민 각 50%가 참여하는 결선투표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힌 상태입니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현역 국회의원·지역위원장의 영향력이 크게 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고, 일부 출마 예정자들은 이미 권리당원 확보에 나서며 표심 관리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지방의원보다 현역 단체장 평가 기준 개편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지난 17일 정량지표 50%, 개인 프레젠테이션 20%, 여론조사 30%, 그리고 가감점 10점으로 구성된 새로운 평가 체계를 공식 확정했습니다.
주목되는 건 처음 도입되는 개인 PT 평가입니다.
현직 단체장이 직접 자신의 성과와 향후 비전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이른바 '성과 공유형 평가 시스템'입니다.
정량 평가 항목도 구체화했습니다.
지역경제 발전 노력 40점, 리더십 30점, 당 기여도 30점으로 구성돼 사실상 단체장 개인의 행정 성과가 매우 구체적인 수치로 반영됩니다.
그동안 논란이었던 하위 20% 컷오프 제도는 공천관리위원회로 결론을 넘긴 상태입니다.
이 같은 변화로 충북 정치권도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
민주당의 경우 권리당원 중심 공천으로 판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고, 국민의힘 현역 단체장들은 경제지표, 고용률, 청렴도 등 수치화되는 지표 관리를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입니다.
중앙당의 공천룰 개편이 지역 정치 지형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그리고 출마 예정자들의 셈법이 어떻게 달라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BBS 뉴스 조성현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